[학술지]
▷The effects of a simulated laughter programme on mood, cortisol levels, and health-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aemodialysis patients.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. 2016. DOI: 1016/j.ctcp.2016.07.001
▷10% 리도카인 분무와 아로마 손마사지가 혈액투석 동정맥루 천자 시의 통증, 불안,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. 한국재활간호학회지. 19(1). 2016.
▷간호대학 신입생의 비합리적 신념,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 적응: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.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. 18(2). 2016
▷수술실 간호사의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. 간호행정학회지. 21(1). 2015.
▷단축형 노인 낙상위험 사정도구의 타당도. 한국보건간호학회지. 28(3). 2015.
▷고려수지요법이 척추마취 수술 후 불편감과 운동 및 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.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. 16(1). 2014.
▷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39-item Parkinson’s Disease Questionnaire. Asian Nursing Research. 8(1). 2014.
▷ 임신성 당뇨병 임부에 대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. 여성건강간호학회지. 19(2). 88-98. 2013.
▷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Translation of the BASDAI in Korea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. Value in health, 11, S99-S104, 2008
▷ 파킨슨병 환자의 하부요로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. 대한간호학회지, 39(1), 116-123, 2009
▷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Kidney Disease Quality of Life Instrument (KDQOL-SF(TM)), Tohoku J Exp Med, 211(4), 321-329, 2007.
▷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Liver Disease Quality of Life (LDQOL 1.0) Instrument. Korean J Hepatol, 13(1), 44-50, 2007
▷ EQ-5D를 이용한 건강수준의 가치 평가 ,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, 12(2), 19-43, 2006
▷ Body fat distribution and blood pressure according to anthropometric change in Korean patients with NIDDM. 대한간호학회지, 36(5), 837-844, 2006
▷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McMaster Quality of Life Sclal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. Journal of Palliative Care ,22(1), 40-45, 2006
▷ 한국인 질환-특이 및 영역-특이 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 현황. 대한류마티스학회지, 9(4), 18-38, 2002.
▷ 한국인 건강 관련 삶의 질 연구 현황. 대한류마티스학회지, 9(4), 1-17, 2002
▷ 간호학생의 근육주사 처치 실습에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-불안, 스트레스 및 처치수행도를 중심으로-. 대한간호학회지, 32(6), 784-791, 2002.
▷한국 인슐린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변화, 체지방, 혈압 및 C-peptide/혈당비. 대한간호학회지, 2001.
▷인공호흡기를 부착한 급성호흡부전 환자에서 폐병변 부위에 따른 체위적용이 동맥혈 가스분압 및 폐포동맥간 산소 분압차에 미치는 영향. 성인간호학회지. 2000.
▷말기신부전증 환자에서 혈액투석액 나트륨 농도가 혈압, 투석간 체중 증가 및 갈증에 미치는 영향. 성인간호학회지. 2000.